Insight
본조사는 2024년 6월 발행 「ampule magazine Vol.10」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해당 기사 및 해당 잡지 전편은 ampule magazine 전자판 백넘버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ampule magazine백넘버
https://ampule.jp/magazine/
ampule magazine Vol.10「100년 시대의 Beauty와 웰니스」
『ampule magazine Vol. 10』의 주제는 ‘100년 시대의 Beauty와 웰니스’. 펨케어와 영양제, 시니어의 뷰티 사정, 병후의 아피어런스 케어 등을 다루는 것으로 인생 100년 시대의 뷰티의 본연의 자세에 대해 다면적으로 생각합니다.
<조사 개요>
트렌더스 조사
조사기간 : 2024년 1월 22일 ~ 23일
조사대상 : 15~69세 남녀 849명 (연령대 성별 균등분할)
조사방법:인터넷 조사
전체적으로 젊은 세대가 「100년 살고 싶다」고 느끼는 경향이 강하고, 10대에서는 반수 이상(54.9%)이 「그렇게 생각한다」 「어느 쪽인가 하면 그렇게 생각한다」고 회답. 한편, 전체의 60% 이상(63.7%)이 「어느 쪽인가 하면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회답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100세까지 사는」 것에 대해 많은 사람이 뭔가의 염려를 안고 있는 것을 읽을 수 있다.
「고령을 무리하게 거역하지 않고 나이에 맞는 아름다움을 유지하고 싶다」고 응답한 것은 60세 이상이 40.1%로 1위. 2위 이후도 40대(31.4%), 50대(31.2%)로 계속 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나이를 먹을수록 「고령을 거스르지 않는」 생각이 강해지는 경향에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50대는 「실연령보다 젊은 외형을 유지하고 싶다」는 회답율에서 탑이 되고 있어, 50대 전후는 「이상을 추구한다」와 「현실을 받아들이는 것」의 사이에 있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전체의 60% 이상(63.7%)이 「공포심이 있다(어느 쪽인가 하면 포함)」라고 회답. 연령대별로 보면, 가장 공포심이 있는 것은 40대로 72.9%. 40대는 Q.1에서 「100세까지 살고 싶다고 생각한다」고 회답한 비율도 전세대중 가장 낮은 세대이기도 해, 신체의 쇠퇴를 실감으로서 느끼는 기회도 증가해, 노화에의 공포심을 느끼기 쉬운 타이밍일지도 모른다.
「외로워지는 것」에 대해 40대(33.3%)나 50대(27.6%)가 강하게 공포심을 갖고 있는 반면, 60대 이상에서는 확 내려 14.3%로(전세대 중 최하위). 아이의 독립이나 정년 퇴직 등이 「고독과 마주하고, 받아 들일」기회가 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자신의 개호에 관한 것’에 대해서는 높은 연령대부터 차례로 상위를 차지하고 있어 연령을 거듭해 건강불안을 느끼기 쉬워지는 가운데, 개호의 고민도 구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생각된다.
젊은 세대일수록 「스킨 케어」를 하고 있어 노후도 포함해 긴 시선으로 피부 건강을 의식하는 얼리 에이징 케어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저금이나 수입을 늘리는 것」에 대해서는 노동 세대의 30대~40대가 의욕적. 적당한 운동에 대해서는 60대 이상(50.0%)이 압도적으로 많이 하고 있어 직장을 그만두고 생긴 시간을 건강증진에 쓰고 있는 것도 예측된다.
연령대마다 크게 다른 「인생 100년 시대」의 사고 방식. 그러나 어느 연령대에서나 자신 답게 있고 싶다는 의식은 공통된 것이 아닐까. 「”자신 답게 있을 수 없을 정도라면”100세까지 살고 싶지 않다」「”자신 답지 않게 되는 것이 두렵기 때문에”스킨 케어를 한다」 등, 어느 조사에서도 그 의식이 느껴졌다. 인생 100년 시대의 본질은 평균수명 100세가 아니라 자신 다운 삶을 다할 수 있는 것에 있는지도 모른다.
트렌더스 주식회사
이와타 마사토
2018년 트렌더스에 입사. 전략 플래너로서 주로 조사 PR을 이용한 프로모션의 기획 제안에 종사. 그 후 동사 홍보부로 이동. 조사 PR로 기른 지견을 살려, 자사의 홍보 활동이나 각 사업부의 조사 어드바이저를 담당. 현재는 ampule 브랜딩 팀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