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PULE Innovation firm

REPORT

Insight

2024/04/08
SURVEY

「Z세대×뷰티」의 지금을 철저 조사!<ampule magazine Vol.04>


SNS트렌드에서 큰 존재감을 발하는 Z세대의 동향이나 가치관을 살펴볼 수 있도록, 미용에 관심이 있는 Z세대 60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3,947명에게 실시한 사전 조사에서는, 남성 중 30%가 미용 관심도 <고>라고 응답!

5명 중 1명은 TikTok에서 미용정보 수집

Q,새로운 미용 아이템을 구입할 때 참고로 할 것은?

※複数回答/上位回答5つ(n=601)

1위:Instagram(스킨케어:60%、스킨케어:60%)
2위:YouTube(스킨케어:36%、스킨케어:36%)
3위:Tiwtter(스킨케어:33%、스킨케어:30%)
4위:TikTok(스킨케어:22%、스킨케어:21%)
5위:매장(스킨케어:17%、스킨케어:17%)

<리서처 코멘트>
4대 SNS가 중심이 된 미용 구매 정보 수집 경로 가운데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TikTok이다. Z세대의 미용 관심이 있는 사람들 중 5명 중 1명은 TikTok에서 정보 수집을 하고 있다는 것이 알게 되었다. 참고로 ampule magazine Vo.01에서 20~40대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2021년 5월 실시)에서는 미용 정보 수집 경로로 TikTok을 사용한다고 응답한 것은 단 5%. Z세대의 20%와 비교하면 큰 차이가 있다.

가성비 아이템도 백화점 아이템도 선택지로! 성분이나 구매 채널도 중시

Q,미용 아이템 구입에 드는 ‘연간 평균 금액’은?

※単一回答(n=601)

<스킨 케어 상품>
1,000엔 미만:18%
1,000엔~5,000엔 미만:33%
5,000엔~1만엔 미만:21%
1만엔~5만엔 미만:21%
5만엔~10만엔 미만:5%
10만엔 이상:2%

<메이크업 상품>
1,000엔 미만:22%
1,000엔~5,000엔 미만:29%
5,000엔~1만엔 미만:22%
1만엔~5만엔 미만:20%
5만엔~10만엔 미만:5%
10만엔 이상:2%

<리서처 코멘트>
미용아이템 구입에 드는 금액은 전체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가. SNS를 통해 뷰티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당연한 세대. 기존이라면 정보를 얻기 어려웠던 가격이 높은 아이템도 쉽게 알 수 있고, 가성비 좋은 아이템과 나란히 비교되는 일도 드물지 않다. 가격에 상관없이 SNS에서 리뷰가 좋으면 사겠다는 것이 Z세대의 미용 구매 경향으로 보인다.

Q,미용아이템 구입시 중시하는 점은?

※複数回答(n=601)

<스킨 케어>
1위 : 내 피부에 맞다(65%)
2위:효과, 효능(47%)
3위:가격(35%)
4위:SNS에서의 평판(30%)
5위:배합성분/구입의 편리성(20% ※동률)

<메이크업>
1위 : 자신의 피부에 맞다 ※ 퍼스널 컬러 포함(56%)
2위: 발색과 마감이 이미지대로(40%)
3위:가격(34%)
4위:SNS에서의 평판(30%)
5위:피부에 좋다(30%)

<리서처 코멘트>
스킨 케어는 「배합 성분」과 「구입의 편리성」이 순위에 올라 있는 것이 특징. Z세대에게 인기인 한국 화장품은 핵심 성분을 밀어낸 것이 많다. 또 EC 사이트를 구사해 해외 화장품을 사는 일도 마다하지 않는 세대이기 때문에, 구입의 편리성은 당연히 중요하다. 메이크업은 [발색이 좋은 것]과 [피부에 좋은 것] 모두 중시. 공격도 수비도 둘 다 요구한다고 하는 것이, SNS의 평판 체크로 보는 눈이 높은 Z세대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지구나 모두에게 좋은 뷰티’를 의식

Q,미용과 SDGs’에 관심은 높은가?

※単一回答(n=601)

네:57%

▶「네」라고 대답한 사람 중…
 <가장 임하고 싶은 것>(단일 회답 n=342)
1위:친환경 상품이나 브랜드를 선택하고 싶다(36%)
2위:쓰레기 삭감에 임하는 상품이나 브랜드를 선택하고 싶다(21%)
3위:다양성을 느끼는 상품이나 브랜드를 선택하고 싶다(14%)

이런 의견도!/
환경 배려나 젠더의 관점에서 보면, 선택하기 어려운 상품이 아직도 많다고 느낀다. 매장은 확실히 반짝반짝해서 텐션이 좋아지지만, 그 것만으로 되는 것일까 생각할 때가 자주 있다. 다만, 조금씩, 젠더 프리나 환경 배려의 상품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더 늘고, 가격대도 풍부해져 가면 기쁘다. (19세)

<리서처 코멘트>
SDGs에 관심이 많다는 Z세대. 교육 커리큘럼에 SDGs에 관한 수업이 포함되기 시작한 것이 큰 요인인 것 같다. 앞으로의 세대는 소비활동도 포함한 구체적인 행동으로 사회공헌을 해 나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미용업계로서 의식이 높은 Z세대에 대해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당신 자신의 「아름다움에 대한 가치관」은

Q,あなた自身の「美しさに対する価値観」は?

※複数回答(n=445)

【질문 내용 ※ 위부터】
외모 뿐만 아니라 성격의 아름다움과의 밸런스가 중요(52%)
외모의 아름다움이 무엇보다 중요(37%)
성격의 아름다움이 무엇보다 중요(27%)

자기 자신이 예쁘다고 느낄 수 있는지가 중요(38%)
남이 나를 예쁘다고 느끼는지가 중요(33%)

자신 다운 “아름다움”을 원한다(29%)
“아름다움”의 정답을 원한다‘(11%)

“아름다움”에 성별은 상관없다(33%)
“여성 스러운 아름다움”이 중요하다(19%)

“아름다움”에 나이는 상관없다(25%)
나이에 맞는 “아름다움”이야 한다(14%)

항상 화장이나 외모는 신경을 써야 한다(28%)
화장을 안 해도 부끄럽지 않다 (26%)

당신에게 ‘뷰티’란 무엇입니까?

※単一回答/上位回答5つ(n=551)

【질문 내용 ※ 위부터】
자기에게 자신감을 주는 것이다.(26%)
좋아하는 것, 재미있는 것이다.(20%)
차림새를 단정히 하는 것이다. (11%)
예쁘게 보이려고 하는 것이다. (11%)
자기 표현을 위한 것이다. (9%)

<리서처 코멘트>
전체적으로 「종래의 가치관에 사로잡히지 않고 미용을 즐기고 싶다.」라고 하는 의식을 알 수 있어 뷰티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의견이 눈에 띈다. 거꾸로 생각하면, 뷰티 마케팅에서도 그러한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주의!’, ‘○○를 숨겨라!’와 같이 공포적으로 호소하는 것은 Z세대가 받아들이기 어려울 수도 있다.

Z세대가 지금 주목하는 뷰티 브랜드는?

Q,지금 일본의 뷰티 브랜드에 대한 불만은?

※複数回答/上位回答3つ(n=414)

【질문 내용 ※ 위부터】
가격이 높다.(49%)
종류나 선택지가 적다.(24%)
패키지가 예쁘지 않다.(22%)

Q,지금 주목하는 뷰티 브랜드는?

<리서처 코멘트>
SNS에서 종종 화제가 되는 ‘CAN MAKE’가 표를 모았지만 응답 전체로 보면 한국 브랜드에 집중돼 있다. 일본 뷰티 브랜드에 대한 불만으로 제기된 세 가지는 그대로 한국 브랜드가 인기를 얻는 이유로 자주 거론되는 저렴한 가격, 다양한 종류, 패키지의 예쁨과 딱 대조된다.

OTHER REPORT